계획안은 마을길, 풍경, 장면 세가지의 명확한 전략 하에 설계하여, 2024년 현상설계에 당선되었다.
첫째, 마을길 도서관
숨겨져있던 궁마을의 축을 받아들여 북측 주거지의 사선도로와 연결한다. 도서관 북측의 삼각 공원은 숲과, 궁마을 공원을 이어준다. 건축 내외부의 길은 마당이 되고, 공원이 되고, 산책로가 되어 끊어져있던 공간과 공간을 이어주는 연결자가 된다. 수서도서관은 마을길 도서관으로서 오고가는 길은 수서의 보석들과 만나는 공간이 된다.
둘째, 풍경의 도서관
매스 및 외관의 계획에 있어 주도로와 경사각을 두고 형성된 파사드 계획으로 전면에 넓은 광장을 조성하고, 차량과 보행자의 진행방향에서 입체적 다면성과 전면 주거지에서의 동적 정면성을 확보하였다. 대지를 감싸안은 나즈막한 숲 언덕의 곡선을 입면계획에 적용하여 주변 환경과 중첩되었을때 잘 짜여진 하나의 풍경이 되도록 하였고, 강남 대표 도서관으로서의 장소성과 상징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지형과 곡선의 요소를 중첩시키며 디자인하였다.
셋째, 장면의 도서관
도서관의 내외부는 영감을 주는 공간, 창의력이 솟아나는 공간, 새로운 관계와 가치가 창출되는 공간으로 구성된다. 책을 읽거나 학습을 하거나 스쳐지나가는 순간에도 기능과 결합된 각각의 공간은 이용자를 공감각적으로 맞아준다. 정보 홍수의 시대, 내 손안에서 모든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시대에도 굳이 도서관에 가야하는 이유를 만들기 위해서 일상과는 다른 새롭고 특별한 공간의 경험을 도서관 곳곳에 배치하였다.
수서동 구립 공공도서관 현상설계
대지위치
강남구 수서동 593번지
지역지구
제2종일반주거지역, 지구단위계획구역 (서울세곡2 보금자리주택지구)
주요용도
교육연구시설(도서관)
대지면적
3,899 ㎡
건축면적
1,725.12 ㎡
연면적
6,770.41 ㎡
용적률
121.31 %
건폐율
44.25 %
규모
지하1층, 지상4층